이번 글에서는 코스닥 야간선물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등 가격 변동에 대한 구조와 제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스닥 야간선물은 주식시장과는 별개로 야간에 거래되는 파생상품으로, 주식시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등의 가격 변동 제한 장치가 적용됩니다.
이러한 장치는 시장의 과도한 변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인데요. 서킷브레이커는 가격이 급등락할 경우 자동으로 거래를 일시 중지하는 시스템이고, 사이드카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시장의 변동성이 과도할 때 추가적인 가격 변동 제한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가격 변동 제한 구조가 어떻게 작동하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코스닥 야간선물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뜻
코스닥 야간선물에서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는 가격이 급격히 변할 때 시장의 과도한 변동을 막기 위한 장치인데요. 시장이 너무 빠르게 오르거나 내릴 때 거래가 갑자기 너무 많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
서킷브레이커는 가격이 급격하게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자동으로 거래를 잠시 멈추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선물 가격이 너무 많이 오르거나 내리면, 서킷브레이커가 작동하여 거래를 잠깐 멈추고, 그 후에는 가격이 안정되도록 다시 거래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투자자들이 혼란스럽지 않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보통 급등이나 급락이 일정 비율을 넘으면 작동합니다.
사이드카 (Sidecar)
사이드카는 주식 시장이나 선물 시장에서 갑작스러운 큰 변동이 있을 때 적용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이유로 시장의 가격이 급격하게 변할 때, 사이드카가 작동하여 가격 변동폭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장에 너무 큰 충격이 오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가격변동 구조 및 제한
항목 | 내용 |
---|---|
호가가격단위 (Tick) | 0.10포인트 |
최소가격변동금액 | 1,000원 (0.1p × 10,000 거래승수) |
가격제한폭 | 기준가격 대비 단계적 확대 적용 |
단계별 제한폭 | ① ±8% → ② ±15% → ③ ±20% |
필요적 거래중단 | 현물 급변 시 선물도 일시 중단 + 단일가로 재개 |
- 최소 호가 단위는 0.10포인트이며, 이는 실제 금액으로 1,000원씩 움직입니다.
- 예를 들어, 선물 가격이 130.5p에서 130.6p로 오르면 수익/손실은 1,000원 차이입니다.
- 시장 급변 시 가격제한폭이 단계별로 확대되며, 필요 시 거래를 일시 정지시켜 투자자 보호가 이뤄집니다.
가격제한폭 단계별 확대
구분 | 조치 내용 |
---|---|
가격제한폭 기본 | ±10% |
가격제한폭 1단계 확대 | ±15% |
가격제한폭 2단계 확대 | ±20% |
서킷브레이커 | 현물지수 8% 이상 하락 시 시장 전체 정지 |
사이드카 | 선물 가격 5% 이상 변동 시 5분 정지 |
- 가격제한폭 기본: 전일 정산가 기준 ±10% 범위에서 거래 가능.
- 가격제한폭 1단계 확대: 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10% 도달 후 1분간 유지 시 ±15%로 확대.
- 가격제한폭 2단계 확대: 1단계 확대 후 ±15% 도달 상태가 1분간 지속 시 ±20%로 추가 확대.
- 서킷브레이커: 현물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해 1분 이상 지속 시 전 시장 20분간 정지(1일 1회).
- 사이드카: 코스닥150 선물이 5% 이상 급등락하고 1초 이상 지속 시 선물시장 5분간 일시 정지(1일 1회).
이번 글에서는 이렇게 코스닥 야간선물의 가격변동 구조 및 제한과 더불어 가격제한폭 및 코스닥 야간선물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뜻 에대해 종합적으로 알아봤습니다.